해양오염신고포상제도는 해양환경보호에 적극 참여하는 시민과 해양관련 종사자를 포상하여 해양보호활동을 독려하는 제도이다.
해양오염신고유인제도는 대한민국 해양환경관리법에 의거 시행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양오염 사고가 발생하면 제보자는 유관기관이나 시민단체에서 주관하는 신고 및 모집 활동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해양오염신고 포상금은 지원형식이며, 제보내용에 따라 제보자에게 적정금액을 지급합니다.
또한 보상 총액은 내부 고발자의 활동과 제공된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다릅니다.
해양경찰청도 청정해양환경 신고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최대 300만원의 보수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해경이 발표한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해양경찰청은 깨끗한 해양환경을 위해 해양오염 신고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해양오염 신고는 7630건, 연평균 1526건, 포상금은 279건, 포상금은 3595만원이다.
해경은 이 보고서를 통해 해양오염사고를 신속하게 예방하고 가해자를 특정할 수 있었다.
해양환경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오염신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경찰청에서 관리하는 파일 분석기술 등 해양오염 조사 및 분석기술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양경찰청은 신고포상금 지급 기준을 완화하고, 향후 해경 현장조사에서 범인 적발 시 신고포상금 지급을 개선하였습니다.
지난해 바다에서 검은 기름덩어리를 발견한 기자는 신속한 취재로 100만원의 제보를 받았다.
해양경찰청은 국민이 해양오염을 발견하면 언제든지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깨끗한 해양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양오염에 대한 대책의 책임은 해양오염원이 될 수 있는 기업, 기업소, 기관, 단체에 있다.
하지만 시민들이 환경활동에 참여하고 해양오염신고 포상금 등의 혜택을 받아 지역사회가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지구촌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바다 여행도 계획 중이라면 일석이조, 환경 보호, 해양 오염 신고로 보상을 받아보는 것은 어떨까요?